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 조선인민군의 주요 행정 기관이다. 총참모장은 인민무력상의 해외 방문 시 국방부를 총괄하며, 예하에 작전국, 군사훈련국, 통신지휘국 등 13개 직속국과 지상군 군단, 해·공군 사령부 등을 두고 작전 지휘를 수행한다. 총참모부는 조선인민군의 국방 정책 기획, 안보 위협 평가, 훈련 및 조직 규율 등의 권한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인민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은 조선인민군의 최고 통수권자를 지칭하는 직책으로, 1948년 조선인민군 창설과 함께 '조선인민군 총사령관'으로 처음 등장하여 한국 전쟁 시기 김일성이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으로 임명되면서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직책의 명칭과 권한에 변화가 있었으며 권력 승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다 2019년 헌법 개정으로 "최고사령관"은 "총사령관"으로 대체되었다. - 조선인민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은 조선인민군의 군사력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1948년 민족보위성으로 출범하여 인민무력부, 인민무력성 등을 거쳐 2020년 국방성으로 개칭되었으며, 작전 계획 관리, 대외 관계 조율, 방위산업 및 외화 획득 사업 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대한민국에 대한 위협 및 도발, 국제 제재 회피 등의 논란에 직면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는 2016년 국방위원회를 대체하여 신설된 최고 정책 지도 기관으로, 국방 및 안보 정책을 포함한 국가 주요 정책을 심의하고 결정하며,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고 김정은이 맡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 |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 |
한국어 명칭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
한자 | (표기 없음) |
로마자 표기 | Joseoninmingun Chongchammob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osŏninmin'gun Ch'ongch'ammobu |
한국어 발음 (IPA) | (표기 없음) |
관련 정보 | 북한 |
이미지 | (표기 없음) |
이미지 설명 | (표기 없음) |
직책 정보 | |
직책 | 총참모장 |
소속 군대 | 조선인민군 |
직책 명칭 (원어) |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
깃발 | (표기 없음) |
깃발 크기 | (표기 없음) |
깃발 테두리 | (표기 없음) |
깃발 설명 | (표기 없음) |
휘장 | (표기 없음) |
휘장 크기 | (표기 없음) |
휘장 설명 | (표기 없음) |
이미지 | 김정은과 블라디미르 푸틴 (2019-04-25) 15 (cropped).jpg |
이미지 크기 | (표기 없음) |
대체 텍스트 | (표기 없음) |
현직 | 리영길 |
직무 대행 | (표기 없음) |
현직 임명일 | 2022년 12월 28일 |
유형 | (표기 없음) |
상태 | (표기 없음) |
소속 부서 | 조선인민군 |
스타일 | (표기 없음) |
구성원 | (표기 없음) |
보고 대상 | 국방상 |
관저 | (표기 없음) |
소재지 | (표기 없음) |
지명자 | (표기 없음) |
임명자 | 무력총사령관 |
임명 자격 | (표기 없음) |
임기 | (표기 없음) |
임기 자격 | (표기 없음) |
구성 문서 | (표기 없음) |
전신 | (표기 없음) |
창설일 | 1948년 2월 |
초대 | 강건 대장 |
최종 | (표기 없음) |
폐지일 | (표기 없음) |
계승 | (표기 없음) |
약칭 | (표기 없음) |
비공식 명칭 | (표기 없음) |
부관 | 조선인민군 부총참모장 |
급여 | (표기 없음) |
웹사이트 | (표기 없음) |
총참모장 직책 | |
한국어 명칭 | 조선인민군 총참모장 |
한자 | (표기 없음) |
로마자 표기 | Joseoninmingun Chongchammoja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Chosŏninmin'gun Ch'ongch'ammojang |
한국어 발음 (IPA) | (표기 없음) |
관련 정보 | 북한 |
이미지 | (표기 없음) |
이미지 설명 | (표기 없음) |
영문 명칭 | |
영문 명칭 | General Staff Department of the Korean People's Army |
2. 체계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합참의장이 대통령의 직접 지시를 받는 것과 유사하다. 인민무력상이 해외 방문을 하면 총참모장이 국방부를 총괄하며, 인민무력부의 국장들은 모든 보고서를 인민무력부장과 별도로 총참모장에게도 제출한다. 총참모부 대변인은 수시로 방송에 나와 대남 및 대미국 무력 협박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총참모부 직속국은 대략 13개 국이 있다. 과거에는 작전국과 정찰국이 중요했으나, 정찰국은 조선인민군 정찰총국으로 확대 개편되어 인민무력부 산하로 변경되었다. 총참모부 예하에는 직속국 외에도 교도지도국 3개와 지상군 군단, 해·공군 사령부 등이 소속되어 작전 지휘를 받는다. 교도지도국은 교육, 지휘, 훈련 책임을 지는 부서로, 경보병교도지도국은 경보병 부대(특수부대)의 교육, 지휘, 훈련을 담당한다.
총참모부 직속국은 다음과 같다.
국 명칭 | 주요 임무 |
---|---|
작전국 | |
군사훈련국(전투훈련국?) | 각종 교육훈련 계획 및 지침 하달 |
군사발전국(군사개발국?) | 전략, 전술 개발 |
대열보충국 | 병사의 부대 배치, 인사 관리 |
군사동원국 | 필요 병력 및 계대 병력 파악, 병력 충원 계획 및 집행 |
통신지휘국(통신국? 통신지도국?) | 각 군의 유·무선 통신의 운용 및 감독 (예하 직할 통신여단 보유) |
전자전국 | 걸프전 이후 강화, 미림대학 운영 (1980년대 이후 창설) |
핵화학방어국(화학국?) | |
공병국 | 군사 시설 건설 및 지뢰 매설 (예하 중도하여단 보유) |
병기국 | 병기탄약의 보관 및 출납 |
지질국 | 군용 지도의 작성 및 배포 |
감찰국? | 예산 집행에 관한 통계와 조사 |
군사발간국? |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총참모장 1명과 부총참모장 4명으로 구성된 지휘부를 두고 있다.[8] 총참모부는 10여 개의 지상군 군단, 4개의 기계화군단, 1개의 전차군단, 2개의 포병군단, 평양방어사령부, 해군사령부, 공군사령부 및 기능 참모조직들을 직접 지휘한다. 또한, 대남 공작업무를 맡은 정찰국, 작전국, 감찰국, 군사훈련국, 경보교도지도국 등도 관장한다.
3. 구성
3. 1. 조직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직속으로는 대략 13개 국이 있다. 과거에는 작전국과 함께 정찰국이 중요 부서였으나, 조선인민군 정찰총국으로 확대 개편되어 인민무력부 산하로 변경되면서 총참모부 소속에서 제외되었다. 통신국, 화학국, 공병국 등은 직할 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총참모부 예하에는 직속국 외에도 각종 병과사령부에 해당하는 교도지도국 3개와 지상군 군단, 그리고 해·공군 사령부 등이 소속되어 작전 지휘를 받는다. 교도지도국은 교육, 지휘, 훈련 책임을 지는 부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경보병교도지도국은 경보병부대(특수부대)의 교육, 지휘, 훈련을 담당하며, 전차교도지도국이나 포병교도지도국도 같은 역할을 한다. 최근 포병교도지도국이 포병사령부로 개편되었다는 보도도 있었다.
총참모부의 주요 부서는 다음과 같다.
부서명 | 설명 |
---|---|
작전국 | |
군사훈련국(전투훈련국?) | 교육훈련 계획 및 지침 하달 |
군사발전국(군사개발국?) | 전략, 전술 개발 담당 |
대열보충국 | 병사 부대 배치 및 인사 관리 |
군사동원국 | 필요 병력 및 계대 병력 파악, 병력 충원 계획 및 집행 |
통신지휘국(통신국? 통신지도국?) | 유·무선 통신 운용 및 감독, 예하 직할 통신여단 보유 |
전자전국 | 걸프전 이후 강화, 미림대학(전자전 및 군사 기술 연구 기관) 설치 |
핵화학방어국(화학국?) | |
공병국 | 군사 시설 건설 및 지뢰 매설, 예하 중도하여단 보유 |
병기국 | 병기탄약 보관 및 출납 |
지질국 | 군용 지도 작성 및 배포 |
감찰국? | 예산 집행 관련 통계 및 조사 |
군사발간국? | |
후방총국 | |
정찰국 | |
조직동원보충국(대렬보충국) | |
포병사령부 | |
* 포병지도국 | |
* 탕크국 | |
* 탕크지도국 | |
* 화학국 | |
* 공병국 | |
* 반항공국 | |
* 제1전투훈련국 | |
* 제2전투훈련국 | |
철도사령부 | |
* 자동차국 | |
* 지휘자동화국 | |
* 통신국 | |
* 탐지전자전국 | |
* 대외기술총국 | |
* 대외사업국 | |
* 종합계획국 | |
* 군사재정국 | |
특수자금처 | |
검수국 | |
군수계획국 | |
623지도국 | |
측지국 | |
장비국 | |
병기국 | |
총무국 | |
도로국 | |
일반건설지도국 | |
군사건설국 | |
501호건설관리국 | |
금강산발전소건설관리국 | |
25국 | 금, 유색금속 생산 |
군사교육국 | |
군사과학국 | |
사무처 | |
53부 | |
변신부 | |
참모재정부 | |
건물관리처 | |
70부 | |
석재부 | |
장비연구실 | |
619전략연구소 | |
평양위수사령부 | |
청사경무처 | |
최고사령부 군악단 |
4. 권한
국방상의 지시를 받지 않고, 국무위원장의 직접 지시를 받는다. 미국과 한국의 합참의장이 대통령의 직접지시를 받아 삼군을 지휘하는 것과 유사하다. 중국, 러시아의 총참모장이 미국의 합참의장을 만나는 뉴스가 종종 보도된다. 이들 국가는 통합군 체제로 육·해·공군 참모총장은 없다 (합동군 체제에선 육·해·공군 참모총장이 있다).[1]
인민무력상이 해외 방문을 하면 총참모장이 국방부를 총괄한다. 인민무력부의 국장들은 모든 보고서를 인민무력부장과 별도로 총참모장에게도 제출한다. 삼성장군인 중장 위에 상장, 대장, 차수가 있는데, 대장이 차수로 승진하면 총참모장 임명이 점쳐진다.[1]
총참모부 대변인은 수시로 방송에 나와, 대남 무력협박과 대미국 무력협박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북조선 군부가 언론에 나와 협박을 했다고 하면, 통상 인민군 총참모부 대변인이다.[1]
총참모부(GSD)는 국방성 외에 조선인민군(KPA)의 주요 행정 기관이며,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갖는다.[1]
5. 역사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총참모장 | 강건 | 1948년 2월 - 1950년 9월 |
남일 | 1950년 9월 - 1953년 8월 | |
김광협 | 1953년 8월 - 1957년 9월 | |
리권무 | 1957년 9월 - 1959년 7월 | |
김창봉 | 1959년 7월 - 1962년 10월 | |
최광 | 1962년 10월 - 1968년 12월 | |
오진우 | 1968년 12월 - 1979년 9월 | |
오극렬 | 1979년 9월 - 1988년 2월 | |
최광 | 1988년 2월 - 1994년 2월 | |
오진우 | 1988년 2월 - 1995년 2월 25일 | |
최광 | 1994년 2월 - 1995년 12월 | |
김영춘 | 1995년 12월 - 2007년 4월 | |
김격식 | 2007년 4월 - 2010년 2월, 2013년 - 2013년 10월 | |
리영호 | 2010년 - 2012년 7월 | |
현영철 | 2012년 - 2013년 | |
리영길 | 2013년 10월 ~ 2016년 2월 21일, 2018년 6월 ~ 2019년 9월 | |
리명수 | 2016년 2월 22일[9] ~ 2018년 6월 | |
박정천 | 2019년 9월 ~ 2021년 9월 | |
림광일 | 2021년 9월 ~ 2022년 6월 | |
리태섭 | 2022년 6월 ~ 현재 | |
부총참모장 | 리상조 | 1948년 ~ 1950년 |
유성철 | 1950년 ~ | |
오극렬 | 1977년 10월 ~ | |
정창렬 | 1984년 1월 ~ | |
박승원 | 1992년 4월 ~ 1994년 10월 | |
전진수 | 1994년 10월 ~ 1997년 6월 | |
리봉죽 | 1997년 6월 ~ | |
오금철 | 2008년 4월 ~ | |
홍계성 | ||
김명식 | ||
김영철 | 2010년 ~ | |
김춘삼 | 2010년 9월 28일 ~ | |
오금철 | 2016년 ~ | |
김수학 | 2016년 ~ | |
방관복 | 2016년 ~ | |
김명환 | 2016년 ~ | |
박정천 | 2016년 ~ | |
김명식 | 2016년 ~ | |
림광일 | 2016년 ~ 2021년 9월 (대장진급 후 총참모장으로 승진) | |
김영복 | ~ (2024년 우크라이나 파병 보고[7]) |
2024년, 북한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인 러시아에 인민군을 파병했다(북한의 러시아 파병). 같은 해 10월 30일, 우크라이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김영복 부총참모장을 포함한 장성 3명이 현지에 진입했다고 보고했다.[7]
6. 역대 총참모장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은 조선인민군의 군사 작전 및 행정을 총괄하는 직책이다. 역대 총참모장은 다음과 같다.
순서 | 사진 | 계급 | 성명 | 재임 기간 |
---|---|---|---|---|
1 | -- | 대장 | 강건 | 1948년 2월 ~ 1950년 9월 |
2 | -- | 대장 | 남일 | 1950년 9월 ~ 1953년 8월 |
3 | 대장 | 김광협 | 1953년 8월 ~ 1957년 9월 | |
4 | 대장 | 리권무 | 1957년 9월 ~ 1959년 7월 | |
5 | 대장 | 김창봉 | 1959년 7월 ~ 1962년 10월 | |
6 | 대장 | 최광 | 1962년 10월 ~ 1968년 12월 | |
7 | 대장 | 오진우 | 1968년 12월 ~ 1979년 9월 | |
8 | 대장 | 오극렬 | 1979년 9월 ~ 1988년 2월 | |
(6) | 원수 | 최광 | 1988년 2월 ~ 1995년 10월 | |
9 | 차수 | 김영춘 | 1995년 10월 ~ 2007년 4월 | |
10 | 대장 | 김격식 | 2007년 4월 ~ 2009년 2월 | |
11 | 차수 | 리영호 | 2009년 2월 ~ 2012년 7월 | |
12 | 차수 | 현영철 | 2012년 7월 ~ 2013년 5월[3] | |
(10) | 대장 | 김격식 | 2013년 5월 ~ 2013년 8월[4] | |
13 | -- | 대장 | 리영길 | 2013년 8월 ~ 2016년 1월[5] |
14 | 차수 | 리명수 | 2016년 2월 ~ 2018년 6월 [9] | |
(13) | -- | 대장 | 리영길 | 2018년 6월 ~ 2019년 9월 |
15 | 원수 | 박정천 | 2019년 9월 ~ 2021년 9월 | |
16 | 대장 | 림광일 | 2021년 9월 ~ 2022년 6월 | |
17 | 대장 | 리태섭 | 2022년 6월 ~ 2022년 12월 | |
18 | 대장 | 박수일 | 2022년 12월 ~ 2023년 8월 [6] | |
(13) | -- | 차수 | 리영길 | 2023년 8월 ~ 현재 |
6. 1. 역대 부총참모장
이름 | 재임 기간 |
---|---|
리상조 | 1948년 ~ 1950년 |
유성철 | 1950년 ~ |
오극렬 | 1977년 10월 ~ |
정창렬 | 1984년 1월 ~ |
박승원 | 1992년 4월 ~ 1994년 10월 |
전진수 | 1994년 10월 ~ 1997년 6월 |
리봉죽 | 1997년 6월 ~ |
오금철 | 2008년 4월 ~ |
홍계성 | |
김명식 | |
김영철 | 2010년 ~ |
오금철 | 2016년 ~ |
김수학 | 2016년 ~ |
방관복 | 2016년 ~ |
김명환 | 2016년 ~ |
박정천 | 2016년 ~ |
김명식 | 2016년 ~ |
6. 2. 역대 제1부총참모장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김춘삼 金春三중국어 | 2010년 9월 28일 | ? | |
림광일 | 2016년 | 2021년 9월 | 대장 진급 후 총참모장으로 승진 |
참조
[1]
뉴스
Kim Jong Un fires top general, orders North Korean military to 'gird for war'
https://cnn.com/2023[...]
CNN
2023-08-10
[2]
뉴스
Kim Jong-un fires North Korea's top general and calls for weapons production boost
https://theguardian.[...]
The Guardian
2023-08-10
[3]
뉴스
DPRK appoints new chief of army general staff
http://www.china.org[...]
China.org.cn
2012-07-19
[4]
웹사이트
N. Korea's former armed forces minister posted as chief of KPA general staff
http://english.sina.[...]
Sina
2013-05-23
[5]
웹사이트
North Korea 'executes' army chief of staff Ri Yong-gil
https://www.bbc.co.u[...]
BBC
2016-02-10
[6]
웹사이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6차전원회의 공보
https://kcnawatch.or[...]
2023-01-01
[7]
웹사이트
ウクライナ、北朝鮮派遣兵の統括役を安保理に報告 金正恩氏側近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4-10-31
[8]
웹인용
ARCHIVE 2022|노스코리아 워치|Center for East Asian Peace and Cooperation Studies|Ritsumeikan University
https://en.ritsumei.[...]
2024-01-03
[9]
뉴스
리명수 조선인민군 총참모장으로 임명
http://www.iybrb.com[...]
연변일보
2016-02-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